행동
-
사상과 현실생각에 잠기다 2019. 2. 3. 18:02
요즘 들어 이제까지 겪었던 모든 일을 하나씩 돌아보기도 하고 앞으로 어떻게 될지에 대해서도 곰곰이 생각해 보고는 한다. 그러나 과거에 비해 특별히 더 생각하는 부분은 '기본'이라는 것이 어떻게 형성되는 것이 좋을까 하는 점이다.나는 어릴 때부터 '정의'라던가 '절대'라는 것에 대해 자주 생각했다. 어쩌면 우리나라 사람들이 대부분 그럴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한다. 고려 시대의 불교, 조선 시대의 유교도 그렇고 기독교의 역사를 보아도 '덮어놓고' 믿는다거나, 일단 모든 가설의 기반으로 삼는 것이 흔하게 있었던 것이 아닌가 싶어서다. 이것은 역사적인 사실들을 참고해서 현재의 예법을 찾는다던 유교의 관점이나, 과거의 해석들을 모아놓은 책을 참고해서 현재의 사례에 참고한다는 성경, 탈무드에도 유효하지만, 멀리 찾을..
-
이력과 역사생각에 잠기다 2018. 9. 22. 09:18
우리가 어떤 사람을 판단할 때는 그 사람의 말과 행동도 중요하지만 그 전부터 어떻게 말하고 행동했는지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판단도 중요하게 생각한다. 당장 하는 행동보다 일관성있는 근거가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기계처럼 강제로 가해진 힘에 따라 움직이는 것이 아닌 모든 것은 경향성이라는 것이 있어서 자의식을 가지고 벗어나려고 하지 않는 이상 그 경향성에 따라 행동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경향성 역시 바라보는 입장에서 주관적일 수밖에 없다. ‘저 사람은 먹을 게 있으면 다른 것은 신경 안 써’ 같은 말도 본인은 모르는 경향성을 다른 사람들이 파악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것은 타인의 시선으로 바라본 것이기 때문에 당사자의 말에 몰입되지 않고 판단할 근거로서는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사람을 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