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수학능력시험
-
15년 된 언어영역 공부법번역한 글들/English 2016. 6. 23. 08:15
저는 2000년도 수능세대입니다. 수능에서 언어영역은 만점은 아니고 104점을 맞았습니다. 상대점수는 물론 조금 올라갔었죠. 저는 몰랐지만 당시에 언어영역 평균이 조금 낮았던 모양입니다. 그래서 당시 후배들이나 재수를 결심한 친구들에게 언어영역 공부를 어떻게 했었는지 질문을 받고는 했는데 당시에는 그냥 책을 많이 읽었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 대답만 했었습니다. 저도 정확히 어느 부분 때문인지 몰랐기 때문입니다. 언어영역은 점수가 공부한 만큼 오르지 않습니다. 영어도 마찬가지고요. 지문이 우선시되는 과목은 지문을 처음 접했을 때 뇌의 반응이 어떤지에 따라 문제를 푸는 속도가 달라집니다. 아무도 다음 지문을 예측할 수 없는데, 예를 들어, 시를 읽고 심상에 대한 문제를 풀고 바로 다음 문제가 과학 연구 결과에..
-
영어의 5형식과 영어번역한 글들/English 2016. 6. 20. 13:35
중고등학교 시절 공부 좀 한다는 친구들은 다들 수학은 정석, 영어는 성문 기초영어, 종합영어, 맨투맨 같은 문제집을 정해놓고 보고는 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정석은 개념원리로, 영어도 그 밖의 여러가지로 나누어졌지만 기본적인 형식은 남아 있었습니다. 수학도 풀이가 나와 있는 예제와 풀이는 뒤에 별도로 있고 답만 적혀 있는 유제로 나누어진 형식은 비슷하게 한동안 유지되었고 영어도 1~5형식으로 나누어 분석하는 것도 거의 동일하게 갔습니다. 그래서 지금 제가 영어의 형식을 모른다고 하면 비웃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처음부터 의미 없어 보여서 관심도 가지지 않았고 보어나 그밖의 용어도 (운 좋게도) 그 용어 자체로 시험에 나온 건 중학교 때 뿐이어서 쳐다보지 않고도 잘 지내 온 것 같습니다. 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