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
창작을 위한 시간을 내는 7가지 규칙번역한 글들/블로그 마케팅 2016. 7. 5. 07:00
제가 즐겨 읽는 블로그 중에 Problogger라는 곳이 있습니다. 거의 기업처럼 운영되는 곳인데 글쓰기, 특히 블로그나 전자책 출판에 대한 많은 조언이 있는 곳입니다. 이 곳에서는 podcast도 계속 제작하고 있는데요, 그 요약도 올려 놓곤 합니다. 이번 주제는 시간을 내는 방법이었는데 블로그를 통해 전자책 등을 판매하는 측면이어서 꼭 글쓰기가 아니라도 제법 도움이 될 법 싶어 공유하려고 합니다. 7 Ways to Find Time for Product Creation 창작을 위한 시간을 내는 7가지 규칙 원문 : problogger.com 1. 블로그를 같은 상태로 오래 방치하지 마세요. 그럴 수 있다는 건 알지만 되도록이면 그러지 않기를 바랍니다. 제품을 홍보할 때 독자들은 이미 마음..
-
검색트래픽 눈길 사로잡기번역한 글들/블로그 마케팅 2016. 6. 30. 08:00
온라인 마케팅 부문에서 주로 듣는 말이 "후크Hook"와 "두괄식"일 겁니다. 이것이 저에게 깊이 다가온 이유는 그동안 이 블르그를 봐 오신 분들은 알겠지만 제가 글을 쓰는 방식이 주로 미괄식이었기 때문입니다. 제목으로 무슨 이야기를 할지 밝히고 바로 설명을 시작합니다. 그리고 결론을 냅니다. 하지만 요즘 블로그에서는 의미가 없습니다. 책도 아니고 웹 페이지 하나에 다 담아야 하는 상황이니까요. 여러 페이지에 나누어 설명하면 결국 모두 달아납니다. 한 패이지에 미괄식으로 설명하면 결국 스크롤해서 내려갑니다. 어찌됐든 설명은 원하는 것을 읽고 나서 읽게 되니 어차피 스크롤하고 넘어갈 거라면 아예 결론을 상부에 배치하고 설명을 읽을 생각이라도 들게 하는게 맞지 싶습니다. 트래픽의 대부분이 검색이다 보니, 검..
-
ProBlogger의 교훈(4)번역한 글들/블로그 마케팅 2015. 6. 24. 10:00
저는 2012년 11월에 친구로부터 이메일을 통해 받은 링크를 열어 보고 처음으로 블로그라는 단어를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곧 하나 시작해야겠다고 말했지요. 24시간 이내에 저는 첫번째 블로그(구글 블로그스팟 블로그인데 지금은 없습니다.)를 만들었습니다. 그 블로그는 몇달이 지나 LivingRoom이라는 블로그가 되었습니다. 그때부터 20개 이상의 블로그를 만들었고 그 중 몇가지는 살아 남았습니다. 저 역시 취미로 운영하다 파트타임으로, 다시 전업 블로거로 바뀌어 갔습니다. 그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과 성과들이 있었고 되돌아보면 처음 시작할 때 누군가 알려주었더라면 좋았겠다는 생각이 드는 것들도 있었습니다. 다음이 그 교훈들입니다. 잘 나가는 주제 하나를 정하라 블로그를 시작한 지 6개월 후 독자들과..
-
ProBlogger의 교훈(3)번역한 글들/블로그 마케팅 2015. 6. 17. 10:00
저는 2012년 11월에 친구로부터 이메일을 통해 받은 링크를 열어 보고 처음으로 블로그라는 단어를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곧 하나 시작해야겠다고 말했지요. 24시간 이내에 저는 첫번째 블로그(구글 블로그스팟 블로그인데 지금은 없습니다.)를 만들었습니다. 그 블로그는 몇달이 지나 LivingRoom이라는 블로그가 되었습니다. 그때부터 20개 이상의 블로그를 만들었고 그 중 몇가지는 살아 남았습니다. 저 역시 취미로 운영하다 파트타임으로, 다시 전업 블로거로 바뀌어 갔습니다. 그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과 성과들이 있었고 되돌아보면 처음 시작할 때 누군가 알려주었더라면 좋았겠다는 생각이 드는 것들도 있었습니다. 다음이 그 교훈들입니다. 스스로를 차별화하라 제가 누렸던 '행운'의 하나는 ..
-
ProBlogger의 교훈(2)번역한 글들/블로그 마케팅 2015. 6. 10. 10:00
저는 2012년 11월에 친구로부터 이메일을 통해 받은 링크를 열어 보고 처음으로 블로그라는 단어를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곧 하나 시작해야겠다고 말했지요. 24시간 이내에 저는 첫번째 블로그(구글 블로그스팟 블로그인데 지금은 없습니다.)를 만들었습니다. 그 블로그는 몇달이 지나 LivingRoom이라는 블로그가 되었습니다. 그때부터 20개 이상의 블로그를 만들었고 그 중 몇가지는 살아 남았습니다. 저 역시 취미로 운영하다 파트타임으로, 다시 전업 블로거로 바뀌어 갔습니다. 그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과 성과들이 있었고 되돌아보면 처음 시작할 때 누군가 알려주었더라면 좋았겠다는 생각이 드는 것들도 있었습니다. 다음이 그 교훈들입니다. 지수 성장의 힘을 이용하라 헤딩이라는 말이 설명하려는 바를 잘 나타낼..
-
ProBlogger의 교훈(1)번역한 글들/블로그 마케팅 2015. 6. 3. 10:00
저는 2012년 11월에 친구로부터 이메일을 통해 받은 링크를 열어 보고 처음으로 블로그라는 단어를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곧 하나 시작해야겠다고 말했지요. 24시간 이내에 저는 첫번째 블로그(구글 블로그스팟 블로그인데 지금은 없습니다.)를 만들었습니다. 그 블로그는 몇달이 지나 LivingRoom이라는 블로그가 되었습니다. 그때부터 20개 이상의 블로그를 만들었고 그 중 몇가지는 살아 남았습니다. 저 역시 취미로 운영하다 파트타임으로, 다시 전업 블로거로 바뀌어 갔습니다. 그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과 성과들이 있었고 되돌아보면 처음 시작할 때 누군가 알려주었더라면 좋았겠다는 생각이 드는 것들도 있었습니다. 다음이 그 교훈들입니다. 행운 저는 재능이 있는 다른 사람들만큼 힘들게 비즈니스를 키워왔지..
-
컨텐츠를 개인화하라번역한 글들/블로그 마케팅 2015. 5. 27. 10:00
질문: 좋아하는 것에 대한 정보의 댓가로 어떤 것을 포기하시겠습니까? 한 달동안 초콜릿? 하룻 동안 스마트폰? 섹스? 이상하게 들리겠지만, 2013년 7월에 발표된 Janrain의 연구에 따르면, 25퍼센트의 성인이 입맛에 맞는 정보의 댓가로 한 달 동안 초콜릿을 끊겠다고 대답했다고 합니다. 21퍼센트는 하룻동안 스마트폰을 끊겠다고 했도, 물론 섹스를 끊겠다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사실 13%의 응답자가 하루 이틀도 아니고 한 달 애내 끊을 수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한 달. 어떤 사람이 자신의 입맛에 맞는 정보(정확한 시간에 딱 맞는 사람에게 도착한)를 손에 쥐었을 때의 기쁨을 상상해 보세요. 비약하자면, 사실 많은 사람들이 필요도 없으면서 흔해 빠진, 실제로는 관련도 없는 정보들을 흡수하라고 강요당하..
-
[솔직하게 말하는 온라인에서 돈버는 방법] 중에서번역한 글들/성공 2015. 5. 11. 05:02
[라테의 iPhone에서 작성] 출처 : http://boldanddetermined.com/the-no-bullshit-guide-to-making-money-online/ 위 주소는 블로그로 비즈니스를 하기 위한 방법이라는 글입니다. 그런데 우리나라 실정에 맞을 수도 있고 맞지 않을수도 있는데, 적용해 보아야 알 수 있겠지만, 가장 마지막에 덧붙인 말이 와닿아서 번역해 옮겨 봅니다. 팁: 팡계는 그만 대시오. 만약 돈을 벌고 싶다면 당신이 그 목적을 위하여 일을 해야 합니다. 새벽 다섯 시에 일어나 매일 아침 서너 시간씩 일을 하십시오. 점심 시간에도 일을 하십시오. 잠자리에 들기 전의 저녁 시간에도 일을 하십시오. 당신이 하고 싶은 그 일이 대해서는 하루 24시간, 일주일에 7일 내내 생각해야 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