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
-
언니의 독설독서록 2019. 1. 31. 06:48
회사 북카페에서 책을 종종 빌려 읽는 편이다. 내 돈 주고 사 읽기 아까운 책을 빌려 보는 그런 건 아니다. 내돈 주고 사기 아까운 책은 시간 들여 읽기도 아깝다. 책은 사는 데도 내 시간을 들여 번 돈이 들지만 읽는 것 자체도 시간이 들기 때문이다. 북카페에서 빌려 읽는 책은 차라리 '읽어 보는 것'에 가깝다. 끝까지 읽어도 좋을지 확인해 보는 것이다. 대부분이 그 자리에서 다시 꽂아 두지만 그래도 간간이나마 배울 만한 것이 있겠다 싶으면 가지고 온다. 어제는 김미경 씨의 '언니의 독설'이라는 책을 빌려왔다. 한때 독설이라는 말이 온 인터넷을 도배한 적이 있었는데, 그때 나도 블로그 포스팅을 하나 한 적이 있지만, 나는 기본적으로는 독설에 반대한다. 독설이랍시고 하는 충고들을 보면 비꼬는 말이 들어가지..
-
독서경영일하는 이야기 2019. 1. 29. 18:11
독서 경영이라는 말은 굳이 한 회사의 예를 들지 않아도 누구에게나 익숙한 말일 것이다. 하지만 그런 단어를 사용한 책도 많고 강연도 많고 블로그 포스트도 쏟아지지만 독서경영이라는 말뜻조차 정확하게 무엇을 뜻한다고 집어 말하기 힘들다. 그만큼 뜬구름 같은 소리일 수 있다는 뜻이다. 처음에 독서경영이라는 말을 들었을 때는 마치 유행처럼 지나가는 것인 줄 알았다. 독서를 하고 거기서 배운 것을 경영에 응용하는 것쯤으로 생각한 것이다. 사실, 한 회사에서 임원 몇 명이 책을 읽고 그것 때문에 방향이 바뀐다는 것은 있어서는 안 될 일이다. 그런데 한때 깨진 유리창 법칙이니 뭐니 하면서 경쟁적으로 그런 종류의 자기계발서만 회의 때마다 올라오던 때가 있었다. 아마 한철이 아니라 한 10년 정도는 그렇게 갔던 것 같다..
-
일단 책상에 앉아라글쓰기 2018. 8. 23. 08:00
셜록홈즈의 원 소설에는 어떤 계기로 되어 있었는지 모르겠지만, 드라마 셜록에서는 왓슨이 셜록의 이야기를 블로그에 옮기게 된 계기가 스스로의 정신적인 충격에서 벗어나기 위해 일기를 써 보라는 의사의 권고 때문이었다. 어떤 일이 있었든 간단하게라도 블로그에 글을 써 보라는 것이었다. 수많은 블로그가 있고 그중 대다수가 버려지거나 스팸의 통로로 이용되는 현실에서 새로운 블로그를 개설해서 ‘운영’해 보라는 것이 아니라 그저 끄적이는 도구로 사용하라는 것은 충분히 생각해볼 만한 충고인 것 같다. 드라마에서 보면 머릿속으로 생각을 하고 계산 끝에 정곡을 찌르는 한 마디를 하는 주인공들을 많이 본다.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하는지 모르겠지만, 내 경우에는 그렇게 극적인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대신 말을 하면서 점차..
-
세계 경제 지표의 비밀독서록 2015. 4. 13. 10:00
[라테의 Desktop에서 작성] 이 책을 구입한 건 2010년이었습니다. 정확한 건 뒤져보아야겠지만 벌써 5년이 지났습니다. 하지만 이 책의 내용 중에서 완전히 느낀 건 단 한가지, 어째서 노동시장 보고서 때문에 지금 금리를 올리니 마니 하는 것이 당연하냐는 것 뿐입니다. 그 밖에는 기억도 나지 않네요. 그래서 다시 읽어 보려고 합니다. 함께 읽으면 어떨까 하는 마음으로 소개하려고 했는데, 이런 저런 미사여구보다 서문만 읽으면 바로 빌려 보든 구입해 보든 할 사람이 많을 것 같습니다. 금융시장에서 심각하게 받아들인다는 것은 실제로 영향이 있는 것과 별개로 금융시장이 반응을 한다는 뜻이니까요. 세계 경제지표의 비밀저자#{for:author::2}, 세계 경제지표의 비밀#{/for:author} 지음출판사..
-
프로방스와 블루문독서록 2011. 10. 28. 12:33
새로운 정보를 얻고 세상을 보는 관점을 바꾸게 해 주는 책들도 많고 감성을 건드려 잠시동안 나의 모든 신경을 마비시키는 책들도 많다. 공통점은 그 이후로 내가 세상을 보는 방법을 작은 각도나마 바꾸어준다는 데에 있을 것이다. 나는 개인적으로 마음에 드는 책을 만나면 비슷한 분위기의 음악과 짝을 지어 주고는 한다. 우연한 기회에 그렇게 되는 경우도 있지만, 책을 읽는다는 것이 장편소설인 경우에는 그 느낌을 머릿속에 온전히 재생하자면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간혹 그렇게 짝지워진 음악으로 대신한다. 그러면 마치, 철봉에서 떨어질 때 순간적으로 지나가던 기억들처럼 그 책의 내용들이 머릿속을 스쳐지나가며 다시 경험하는 듯한 감동을 얻어내게 되는 것이다. 최초의 구체적인 경험은 아마 소설 람세스가 아니었나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