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계발
-
자기계발서에서 말하는 자투리시간 활용법은 없다.사회.경제 2015. 4. 19. 09:40
[라테의 Desktop에서 작성]중고등학교 시절, 수많이 들어왔고 그래서 가장 듣기 싫었던 말이 자투리 시간을 활용을 잘해야 한다는 말이었습니다. 그리고 부록으로 활용법에 대한 조언도 쏟아졌었습니다. 버스에서 단어를 외운다던지 여기저기에 외울 단어를 카드로 만들어 비치해 둔다던지 하는 것들이 그것입니다. 하지만 그때는 좋은 성적만 목표였고 어떻게든 모든 시간을 끌어 들여 그 시절의 끝, 대입 입시에서 좋은 성적을 받는 것이 최종 종착점이었을 때였습니다. 말 그대로 '3년만 죽었다고 생각하고 반짝 하면 되'는 때라고 생각했건 거지요. 그런데 요즘도 아니고 훨씬 전부터 직장인의 공부 얘기가 나오면서 자투리 시간을 활용해서 자기 계발을 하라고 합니다. 저는 그 출처가 주로 일본에서 나와 번역된 얇고 비싸면서 ..
-
자기계발서에 대한 단상독서록 2010. 10. 16. 01:02
자기개발서들을 보면 가끔 행동, 즉 겉으로 보이는 면을 고쳐서 내면에 영향을 줘보려는 시도를 하곤 한다. 더 나아가 노골적으로 책의 주제와 관계없이 동기부여 기법만 잔뜩 쓰다 끝나버리는 책들이 없는 것도 아니지만, 무엇보다도 진지한 그런 시도가 간혹 악영향을 끼치는 이유는 동기가 부여되어 스스로 받아들이고 변화를 위해 매진하게 되어 나름의 효과를 보지 않는 한은, 방법론에만 익숙해져 여기저기 방법론만 힐끗거리며 실질적인 변화는 포기하는 나태가 올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작은 변화라도 성취감을 한 번 맛보게 되면, 그 이후로는 더 큰 목표들을 향해 끈의 긴장을 조절하는 방법을 습득하는 일만 남아 있게 될 것이다. 이러한 생각은 누구나 할 수 있지만 내가 보기에 여기까지 나아가 한번 더 비틀어준 관점을 제..
-
포탈뉴스IT 2010. 9. 23. 22:18
요즘 아이폰 어플 중 뉴스파인더라는 어플을 사용하고 있다. 구글리더와 비슷하지만 내가 선택한 부분이 아닌, 주목도에 따라 알아서 정리해서 보여준다는 점이 조금 아쉽기는 하지만 국내 언론이 어차피 내가 고를만큼 선택의 폭이 넓지 않기 때문에 그럭저럭 만족할 만은 하다. 게시판 형식으로 제목들을 보여주고 관련기사가 몇 개인지 표시한다. 클릭하면 기사들 목록을 보여준다. 컴퓨터를 사용할 때에는 영문언론의 경우에는 www.pressdisplay.com이라는 사이트를 이용해서 훑어본다. 내가 자세히 분석할 일도 없고,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간단히 파악할 수는 있다. 신문들별로 머릿기사가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제목들을 훑는 것으로도 나에게는 꽤 도움이 된다. 특정 신문이 필요하다면 어쩔 수 없지만, 가공한 정보를 ..
-
유닉스IT 2009. 7. 20. 12:54
유닉스. 무엇보다 그 구조가 궁금하다. 리눅스를 하면서는 어깨 너머로 한 것 밖에 없기 때문에 전체적인 구조만 알고 있을 뿐이고 실제로 사용한다고 볼 수는 없었다. 그래서인가 운영체제로서의 리눅스는 안정감은 있지만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2000년도에 생각했던 것 같다. 하긴, 리눅스를 운영체제로 사용한 것은 동아리에서 인터넷 몇 번 끄적거린 것밖에는 없고 임베디드만 다뤄봤으니 그게 운영체제로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생각해 보지 않았던 것이다. 거의..라는 말도 과분할 정도로. 문서함에 예전에 다른 선배가 공부하다 두고 간 유닉스 책이 있었다. 대여섯 페이지 읽어보니 재미도 있다. 안그래도 비스타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었는데 잘됐다 싶다. 어차피 지워버릴 거, 인터넷, 영화, 문서작업 세가지밖에..
-
존 불노이 中 - 브라운 신부의 지혜독서록 2008. 10. 22. 17:27
지혜(브라운신부전집 2) 상세보기 G.K.체스터튼 지음 | 북하우스 펴냄 셜록홈즈, 에르퀼 푸와로와 함께 세계 3대 탐정으로 꼽히는 브라운 신부 시리즈의 완역 전집. 작고 통통한 몸에 낡은 검정색 우산, 평법한 외모의 신부가 순박한 표정 속의 비범하고 대담한 상상력으로... "브라운 신부의 지혜" 중 '존 불노이' 편을 읽다가 나름대로 본받을 만 한 인물상을 발견하여 옮겨 적는다. - 제 남편은 아주 훌륭한 사람이예요. 클로드 경은 성공했고 명성을 떨쳤지만 훌륭한 사람은 못 되죠. 제 남편은 크게 성공하지도 못했고, 세상에 이름을 알리지도 못했지만, 그런 것을 꿈꾸지도 않았어요. 자기가 담배를 피운다고 해서 유명해지지는 않을 것처럼, 사상가로서 유명해질 거라는 기대도 전혀 안했답니다. 그이는 세속적인 면..
-
Part1. 패러다임과 원칙_2독서록 2008. 10. 22. 17:12
4. 목표 관리와 자기 관리 ◆ 목표관리의 출발점 : 목표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 - 회사 생활에서는 기업의 비전을 충실히 인식하고 따르며 개인적으로는 미래의 비전을 설계해야 할 것이다. - 기업의 비전(추구하는 가치)을 표방하라. - 비전을 사명으로 구체화하라. ◆ 목표 관리 : 사명에 집중하기 위해 필요 - 목표를 설정하기 위해 기업의 환경을 분석 - 환경 분석 : 장래의 계획을 세우는 데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여 체계화하는 과정으로, 기업의 현재 위치, 경쟁사에 대비한 강점과 약점, 시장에 존재하는 기회, 위협을 알 수 있다. ▷SWOT(Strength, Weakness, Opportunity, Threatness) ◆ 목표관리의 완성 - 목표가 설정되면 달성을 위한 장기적인 계획이 필요 : 전략/..
-
구조는 있는데 눈에 띄지 않는다..독서록 2008. 3. 11. 08:58
프로페셔널의 조건(피터 드러커의 21세기 비전 1) 상세보기 피터 드러커 지음 | 청림출판 펴냄 1960년 대 말 지식 사회의 도래를 예견하고, 지식 사회에서는 지식만이 사회적 지위를 얻고 경제적 성과를 얻을 수 있는 유일한 생산 수단이 될 것이라고 주장해 온 피터 드러커가 지식 사회에서 각 개인의 자기실현 방법에 대해 들려준다. 즉 나의 강점과 가치관은 무엇인가? 나는 어떻게 성과를 거두고 목표를 달성할 것인가? 나는 인생의 후반부를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등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고 있다. 지식 근로자가 자신이 서문을 요약할 때 예로 든 부분과 설명 부분이 마구 섞여 있어 파악하기에는 쉽지 않다고 한 적이 있었는데요, 그건 비단 서문만의 문제가 아니었습다. 예로 든 부분과 설명 부분의 문제도 아니고요...
-
Part1. 패러다임과 원칙_1독서록 2008. 2. 19. 20:28
◆패러다임 : 세상을 보는 방식 - CEO가 세상을 보는 방식으로 세상을 바라보자. - 원칙 : CEO의 다른 점은 좀더 명확하게 삶의 원칙을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1. 자신의 영향력을 넓혀라. - 자신의 시간과 에너지를 자신이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곳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효율적). 이를 깨닫지 못하면 관심 영역과 영향력의 차이를 인식하지 못해서 시간과 노력을 허비하게 된다(비효율적). 자신이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범위에서 일할 때 주도적인 위치에서 일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자신이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범위를 확실히 자각하고 그 영역을 넓혀 나간다면 성공으로 가는 지름길이 될 수 있다. ◆영향력 : 뚜렷한 목표 의식, 주도적인 태도 - 많은 사람들이 상사에 의해 수동적으로 업무에 임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