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 조직사회와 지식 근로자
    독서록 2008. 2. 19. 15:37
    반응형
     

    프로페셔널의 조건(피터 드러커의 21세기 비전 1) 상세보기
    피터 드러커 지음 | 청림출판 펴냄
    1960년 대 말 지식 사회의 도래를 예견하고, 지식 사회에서는 지식만이 사회적 지위를 얻고 경제적 성과를 얻을 수 있는 유일한 생산 수단이 될 것이라고 주장해 온 피터 드러커가 지식 사회에서 각 개인의 자기실현 방법에 대해 들려준다. 즉 나의 강점과 가치관은 무엇인가? 나는 어떻게 성과를 거두고 목표를 달성할 것인가? 나는 인생의 후반부를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등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고 있다. 지식 근로자가 자신이

    조직 사회와 지식 노동자
    [현대 조직에서 지식 전문가는 모두 동료 내지는 협력자여야 한다. 지식 그 자체로서 서열을 매길 수는 없다. 지식의 서열은 그것이 공동의 과제에 공헌하는 바에 따라 평가되는 것이지, 지식 그 자체로서 우열을 평가할 수 없다.]

    1. 조직과 성과 : 현대 조직사회의 특성
     - 인류 역사상 성과를 달성하는 능력이 가장 뛰어남
         ①조직 사회를 구성하는 조직들은 하나의 구체적인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고도로 전문화된 도구를 사용
         ②조직 사회의 성과 달성 능력은 조직 그 자체에, 그리고 지식활용능력에 기초하고 있음
         ③단 하나의 과업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을 때에만 효과적
            :조직은 도구인 까닭에 전문화되면 될수록 주어진 특수한 과제를 수행할 능력은 더욱 커진다.
     - 조직의 사명과 과제는 곧 사회의 가장 중요한 사명이자 과제일 뿐 아니라 다른 모든 것의 기초가 됨
     - 목적 지향적으로 구성되고 항상 전문화되어 있음
     - "모든 구성원이 집중하고 인정할 수 있는 공동의 사명만이 조직을 하나로 묶어 주고 성과를 낼 수 있게 해준다."
     - 조직의 사명과 과제는 곧 사회의 가장 중요한 사명이자 과제일 뿐 아니라 다른 모든 것의 기초가 됨

    2. 조직과 사회
     ①지역 사회와의 관계
        - 조직은 지역 사회 안에 있지만 지역 사회의 일부가 될 수는 없다.
        - 조직의 문화를 결정하는 것은 조직이 수행하는 과업의 성격이지 과업이 수행되는 지역 사회가 아니다.
        - 조직의 가치관은 그 조직이 수행하는 과제들에 의해 결정된다.
        - 조직의 문화는 늘 지역사회를 초월해야 한다.   
        - "조직이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자율성과 지역 사회의 요구들 사이의 갈등, 조직과 지역 사회간의 가치/이해 관계의 갈등은 조직 사회의 본래적인 문제이다."
     ②사회적 책임
        - 조직은 사회적인 힘을 가지고 있어야 함
        - 조직의 권한은 법에 의해 결정되지만 이행은 개별 조직에 의해 이루어짐
        - 기업에 있어 경제적 성과는 기본적인 요소이나 유일한 책임은 아님
        - 조직의 사회적 힘은 책임과 균형을 이루어야 함
        - 사회적 책임 : 종업원, 환경, 고객, 그 밖에 관련 있는 모든 것에 자신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최대한 책임을 지는 것.

    3. 조직의 변화관리
        - 조직의 기능은 지식을 작업에 적용하는 것이며 필요한 지식이 주로 다른 지식 분야에서 비롯되며 빠른 속도로 변하므로 조직도 변화를 추구하게 된다;안정파괴자로서의 역할
        - 변화의 관리를 조직 구조 자체에 짜 넣어야만 함 ; 모든 조직은 지금 하고 있는 모든 것을 폐기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함.
        - "앞으로 조직들은 기존의 제품과 정책과 경영 관습을 어떻게 지속해 나갈 것인가가 아니라 어떻게 하면 그것을 폐기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계획을 세워야만 한다."
        - 변화 관리를 위한 조건
           ①하고 있는 모든 일을 끊임 없이 개선할 것
           ②지식을 활용하는 법(이미 성공을 거둔 어떤 지식을 응용하여 새로운 제품을 창출해 내는 법)을 배울 것
           ③체계적인 혁신 방법을 배울 것
    지식 노동자의 위치
        - 지식 근로자들은 조직이 있음으로 해서 일을 할 수 있다 ; 상호의존적
        - 지식 근로자들은 생산 수단, 즉 지식을 가지고 있음 ; 독립적, 이동성 용이
        - "자신의 전문 분야에 대해 조직 내에 있는 다른 어떤 사람보다도 더 잘 알고 있지 못하면 지식 근로자는 근본적으로 쓸모 없는 존재가 되어 버린다."
        - "어떻게 하는 것이 조직에 공헌하는 것인지, 그리고 어떻게 하는 것이 지식으로부터 성과를 얻는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은 조직이 아닌, 고도의 지식과 기술을 가진 지식 노동자들이다."

    4. 결론
        - 자유 시장 민주주의를 신봉하는 선진국이 당면한 도전은 자율적이고도 지식에 기초한 다양한 조직들이 경제적 성과 향상과 함께 정치적/사회적 단합에 공헌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 조직과 사회에 던져야 할 질문:
             ○누가 공동선을 돌보는가?
             ○누가 공동선이 무엇인지 결정하는가?
             ○누가 사회적 기관들의 분열된, 혹은 충돌하는 목표와 가치들을 조정하는가?
             ○누가, 어떤 기준으로 조직들의 결정 사이의 불균형을 조정하는가?

    반응형

    '독서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생산성 향상  (0) 2008.03.10
    Part1. 패러다임과 원칙_1  (0) 2008.02.19
    인문의 숲에서 경영을 만나다  (2) 2008.02.17
    1.지식의 적용  (0) 2008.02.15
    글의 구조  (0) 2008.02.15

    댓글

Designed by Tistory.